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보란듯 마케터 공부

APP 마케터라면 기본 : 유저에게 메세지를 보내고 싶다면?_마케팅 수신 동의 필수 본문

마케팅 공부 & 일지

APP 마케터라면 기본 : 유저에게 메세지를 보내고 싶다면?_마케팅 수신 동의 필수

Borand 2023. 1. 13. 00:38

마케터라면 회원 유저분들에게 [특정 메시지]를 전달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.

(사실 많다. 데일리로 쏴줘야 한다)

 

가령 [특정 메세지]가 [정보성 메시지]가 될 수 있고 [광고성 메시지]가 될 수 있는데

배송 정보, 예약 정보, 결제 정보 등 법에서 지정하는 안내성 메세지메시지 = 정보성 메시지는 마케팅 수신 동의를 하지 않아도 유저에게 전송 가능하다. 

 

하지만, 정보를 주는 것이 아닌 회사에게 득이 되는 '광고' 성 메세지를 보내게 된다면?

전체 유저에서 "마케팅 수신 동의"에 허용한 유저만 분류해서 발송해야 법적으로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. 

 

하지만 앱을 한번이라도 사용해 봤다면 선택 사항인 "마케팅 수신 동의"를 허용한다는 게 심리적으로 쉽지 않다.

실제로 2022년 11월에 운영한 캠페인에서 신규 회원가입 중 53%만 "마케팅 수신 동의"를 했는데

평균적으로 IOS는 44%, 안드로이드는 70%의 옵트인 비율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. 즉 평균이 1/3만 수신 동의를 한다는 뜻.

 

*옵트 인: 마케팅 수신 동의를 하면 opted in(=option in) 이라고 표현한다. 

왜? 체크 박스에 체크가 되어 있지 않는 상태 = 동의가 필요한 상태 를 뜻한다 

마케팅 수신 동의는 동의가 필요한 약관임으로 옵트인으로 불리는 것 

 

반대말은 옵트아웃 = 동의가 필요하지 않는 상태 ex. 개인정보 처리방침 필수

 

1/3만 마케팅 수신 동의를 한다는 것은 1/3에게만 마케팅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것. 

다시 말해 새로운 캠페인을 진행할 때 우리 유저 1/3에게만 캠페인을 알릴 수 있다는 것이다.

그렇기에 대부분의 앱 대부분이  꼼수를 사용한다. 

 

바로 [전체 동의하기] 기능이다. 

추측컨데.. 마케팅 수신 동의를 한 1/3의 유저 중 대다수가 마케팅 수신 동의를 했는지 모르고 [전체 동의하기]를 눌러 수신 동의가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. 내가 그렇게 동의를 해왔기 때문에 ...(뇌피셜) 

 

또는 마케팅 수신 동의를 위해 이벤트를 열기도 한다고 한다. 

광고를 운영해본 입장으로써 외부 채널보다 내부 채널 광고가 효율이 훨~씬 높기 때문에 이미 우리가 확보한 회원을 대상으로 신규 서비스/제품을 광고하고 구매를 유도하는게 좋다. (물론 잠재 고객을 위해 외부채널도 홍보해야 하지만 내부를 먼저 꽉 잡고 가야한다는 뜻이다. 단, 운영하고자 하는 광고가 내부 채널과 맞지 않는 주제이면 말이 달라질 수도..? )

 

여기서 광고성 메시지는 앱 푸시에도 해당한다. 
하지만 푸시는 [푸시 알림] 허용을 한 상태에서 유저가 푸시를 받을 수 있다. 

  푸시 On 푸시 OFF
마케팅 수신 On  앱 푸시 및 알림톡, 문자, 이메일 등으로 광고성 메세지 가능 앱 푸시는 불가능. 그 밖 알림톡, 문자, 이메일 등으로 광고성 메세지 가능
마케팅 수신 OFF 앱 푸시로는 [정보성 메세지]만 가능 어떤 메세지도 불가능 

하지만 이런 부분은 개발자분들이 세팅을 잘해주셔야 한다. 아니면 수동적으로 해야 하는 불편함이... 생기기 때문에

 

𖤐 명심하자. 마케터 담당이 되어 있다면 기본적인 세팅을 확인하기로!